라볼피아나(La Volpeana)는 현대 축구에서 대표적인 후방 빌드업 전술 개념으로, 아르헨티나 출신 축구 감독 리카르도 라 볼페(Ricardo La Volpe)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전술은 수비형 미드필더가 센터백 선상으로 내려와 후방 빌드업을 강화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수비에서 변형된 쓰리백(3백) 전형이 이루어집니다.
라볼피아나는 상대의 압박을 피하고, 팀의 볼 점유율을 높이며, 공격 전개를 원활하게 하는 데 중점을 두는 전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상대팀이 밀집 수비 전형을 만들었을 때 "그 수비벽을 어떻게 허물고, 어떻게 공간을 창출하여, 어떻게 득점으로 연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적용된 전술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라볼피아나 기본 개념
라볼피아나는 수비형 미드필더가 센터백 위치로 내려와 변형된 3백(쓰리백)을 형성하는 전술입니다. 좌우에 센터백을 위치시켜 수비형 미드필더에게 상대 공격수들의 압박을 피하면서 공간과 시간을 제공하여 전진 패스를 시도할 수 있게 합니다.
수비형 미드필더가 센터백으로 내려가면서 팀의 후방 빌드업 구조를 강화하고, 경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전술의 주된 목적은 상대 수비 조직에 균열을 내고, 공격 팀이 볼을 오래 점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볼을 많이 점유하면서 공격 찬스를 계속 만들어 내야 합니다. 단지 볼만 오래 소유하면서 공격 찬스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이 전술은 무의미해지고, 팀이 무기력해지며, 볼을 빼앗겼을 때 역습에 취약해집니다.
라볼피아나 전술은 기술적 능력이 뛰어난 미드필더를 활용하여 후방에서의 볼 소유와 전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성룡 선수가 이 역할을 잘 수행했습니다.
풀백 3번이 공격 진영까지 올라가서 오프 더 볼 움직임으로 상대 선수 A, B를 자기 쪽으로 끌어들이는 움직임을 가져와야 7번 선수에게 침투 패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3번이 공격 진영까지 올라가서 우두커니 자리만 지키고 있는 다면 올라 간 의미가 없어지고, 침투 패스해 줄 곳이 마땅치 않아 볼을 U자 형태로 후방에서 돌리기만 하게 되고, 쓸모없는 볼 점유율만 높이는 기이한 상황만 나오게 됩니다.
오프 더 볼 움직임은 단지 3번 선수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격수, 윙어를 포함 공격 진영에 올라온 선수들 모두에게 적용되는 얘기로 어느 선수가 어떤 움직임으로 상대 선수가 끌려 들어올 때, 누구에게 어떻게 패스할 건지를 사전에 어느 정도 약속된 연습이 있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3번 선수에게 볼이 갔을 때, 상대팀 수비들이 3번 선수 쪽으로 몰릴 경우, 빠르게 18번 선수에게 방향 전환을 해주야 하는 상황도 발생하는 데, 19번 선수가 빠른 판단을 하지 못하고 5번 선수에게 백패스를 하면 상대팀 수비들이 다시 18번 선수쪽으로 가까워져 볼을 받을 공간이 없어져 5번 선수는 또 21번이나 4번 선수에게 패스를 하게 되면서 볼을 빙빙 돌리면서 점유를 하는 상황이 길어지게 되고, 공격 전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라볼피아나와 포지셔널 플레이
라볼피아나와 포지셔널 플레이(포지션 플레이)와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팀의 공간 활용과 볼 점유를 극대화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포지셔널 플레이(positional play)에서 포지션은 한 경기에서 선수가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이 아닌, 선수가 위치한 공간에서 일시적으로 주어진 역할로서, 선수들은 계속적으로 서로의 위치와 역할을 바꾸며 상대선수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어서 상대 선수들을 움직여 공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압박에서 자유로운 한 명을 만들어 그 선수가 원하는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줘서 득점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라볼피아나 전술에서 공격 진영에 올라 간 선수들은 위에서 언급한 포지셔널 플레이에서 요구하는 플레이를 펼치면서 공간 창출을 만들어 득점 기회를 창출해야 합니다.
라볼피아나 전술의 변형
라볼피아나 전술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합니다. 수비형 미드필더의 역할과 움직임, 측면 수비수의 위치 등을 조정하여 상황에 맞는 변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수비형 미드필더 우측에 중앙 미드필더를 위치시키는 3백 대형을 구사하기도 하고, 풀백 센터백(스위퍼) 센터백으로 3백을 만들기도 합니다.
2026 월드컵 3차 예선 팔레스타인, 오만전 선발 명단 경기 결과, 평가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 예선은 홈 앤 어웨이(home and away) 방식으로 10번의 경기 결과로 각 조 1,2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 4위 팀은 4차 예선을 치러야 한다. A, B, C조 3개
playball9.kr
'축구(전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구] 공격수(Forward, FW)란? 개념 정리 (0) | 2025.02.24 |
---|---|
[축구 용어 ] 스프린트 Spint 개념 정리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