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6 월드컵

2026 월드컵 국가대표팀 박건하 수석코치, 김동진, 김진규 코치 구성 프로필, 지도자 경력

by 플레이윙 2024. 8. 17.
반응형

 

경기 끝난 후 국가대표 선수들

 

전술과 분석을 맡게 될 외국인 코치 2명이 유럽에서 재택근무를 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소식이다. 만약 재택근무 코치로 확정이 된다면 A매치 때만 국내에 들어온다는 것은 사실상 이 외국인 코치들이 대표팀 코치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원래는 스페인 전술 코치를 데려오려고 했다고 하는 데, 스페인 코치들이 마지막 협상이 힘들어지면서 포르투갈 전술 코치로 방향을 선회하게 되었고, 그로 인하여 외국인 코치 2명 영입이 늦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 코치진으로는 박건하 수석코치, 김동진 코치, 김진규 코치를 확정했고, 골키퍼 코치에 양영민, 피지컬 코치에 이재홍, 정현규를 확정했다고 대한축구협회는 8월 16일 공식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이 9월 5일 팔레스타인, 9월 10일 오만과의 경기로 대한민국보다 한 수 아래의 팀이지만, 자만해서는 안 되고,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에서 코치진 구성이 늦어져 여론의 빈축을 사고 있다. 9월 A 매치 국가대표 선발 명단은 8월 26일에 나올 예정이라 국가대표팀 선수 분석과 팔레스타인, 오만 대표팀 분석을 위한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다. 


박건하 수석코치는 한국 프로축구 연맹 기술 연구그룹(TSG)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1년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U23 축구 대표팀에 합류,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함께 힘을 보탰다. TSG는 K 리그의 전술 분석 그룹이다.

 

홍명보 감독이 2013년 6월 24일~ 2014년 7월 10일까지 A 대표팀 감독으로 이어갈 때도 코치로 홍 감독을 보좌했다. 그 이후에도 대한민국 국가 대표팀을 이끌었던 울리 슈틸리케 감독(2014.9~ 2017.6) 체제하에서도 코치로 함께 일을 했고, 대표팀을 떠난 뒤에도 프로팀에서 지도자 생활을 계속 이어 나갔다. 

과거 의리 축구, 이슈 논란으로 홍명보 감독과 인연이 있는 코치진을 안 꾸리려고 했으나, 감독의 의중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코치가 한 명쯤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박건하 수석코치를 영입하게 됐다고 하며, A 대표팀 김도훈 임시 감독 체제하에서 수석코치로 일 한 경험도 영입된 배경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한다.

 

박건하 수석코치
출생 : 1971년 7월 25일 (53세)

[ 선수 시절 ]
포지션 : 스트라이커, 센터 백
등번호 : 18
1994~1995 : 이랜드 푸마
1996~2006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가시와 레이솔 (2000 / 임대)
[ 코치 시절 ]
2006 : 수원 삼성 블루윙즈 (플레잉 코치)
2007~ 2009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코치)
2010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군 (코치)
2011~ 2012 : 대한민국 U-23 대표팀 (코치)
2013~ 2016 : 대한민국 대표팀 (코치)
2019 : 다롄 이팡 (수석 코치)
2019~ 2020 : 상하이 선화 (코치)
2024~         : 대한민국 대표팀 (수석 코치)
[ 감독 시절 ]
2009~ 2010 : 매탄 고등학교 축구부
2016 : 서울 이랜드 FC
2020~ 202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행정 업무 ]
2021~ 2023 : 대한 축구 협회 (이사)
2023~         :한국 프로축구 연맹 (TSG 위원)

 

 


김동진 코치는 선수 시절 월드컵 등 국가대표팀 경력도 많고 러시아 등 유럽에서 경험이 있는 코치이며, 킷치 SC(홍콩)에서 지도자 코치 생활을 했다. 킷치 SC에서 감독 대행을 하면서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경기도 이끌었던 경험도 있고, 여러 가지 측면을 생각해 볼 때, A 대표팀 코치로 적합해서 킷치 구단을 설득 대표팀에 합류하게 됐다고 한다.

 

김동진 코치
출생 : 1982년 1월 29일(42세)

[ 선수 시절 ]
▶ 포지션 : 풀백 / 센터백
2000~ 2006 : FC 서울
2006~ 2009 : 제니트
2010            : 울산 현대
2011            : FC 서울
2012~ 2013 : 항저우 뤼청
2014~ 2015 : 무앙통 유나이티드
2016            : 서울 이랜드 FC
2017-2019 : 킷치 SC
2018            : 호이킹 SA(임대)
[ 국가 대표 ]
1998 : 대한민국 U-17
1999-2000 : 대한민국 U-20
2002-2004 : 대한민국 U-23
2006          : 대한민국 아시안 게임 
                    (와일드카드)
2008          : 대한민국 올림픽
                    (와일드카드)
2003-2010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지도자 경력 ]
2018~ 2021 : 킷치 SC (코치)
2019~ 2021 : 킷치 SC U-15
2021~ 2022 : 킷치 SC (감독 대행)
2022~ 2023 : 킷치 SC(수석 코치)
2023~ 2024 : 킷치 SC (감독 대행)
2024-~         : 대한민국 대표팀(코치)

 

김진규 코치는 FC 서울에서 전력 강화 실장으로 일하기도 했고, 선수 시절 FC 서울에서 8년간 선수 생활을 했다. 2018~ 2020까지 FC 서울 산하 유스 오산고를 지도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 이후 FC 서울 1군 코치, 수석코치를 차례로 역임했다. 

수석코치를 맡던 2023년 안익수 감독이 사퇴한 뒤 시즌이 끝날 때까지 감독대행을 하였다. 선수들과 친화력, 리더십 등 김 실장의 장점을 눈여겨 본 홍 감독이 그의 합류를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FC 서울에서 유스 및 1군 팀 코치로서 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인물이고, 최근에는 제시 린가드 선수의 영입에 많은 역할을 하는 등 전력 강화 실장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낸 인물이다. 

김진규 코치
출생 : 1984년 12월 16일 (39세)

[ 선수 시절 ]
▶ 포지션 : 센터백 
2003~2004 : 전남 드래곤즈
2005~2006 : 주빌로 이와타
2007 : 전남 드래곤즈
2007~2010 : FC 서울
2011 : 다롄 스더
2011 : 방포레 고후
2012~2015 : FC 서울
2016 : 무앙통 유나이티드 FC
→ 파타야 유나이티드 FC (2016 / 임대)
2016 : 파지아노 오카야마
2017 : 대전 시티즌
[ 국가대표 시절 ]
2003-2005 : 대한민국 U-20
2004-2008 : 대한민국 U-23
2004-2012 : 대한민국 국가대표
[ 지도자 경력 ] 
2018~2020 : 오산고등학교 축구부 (코치)
2020~2022 : FC 서울 (코치)
2023           : FC 서울 (수석 코치)
2023           : FC 서울 (감독 대행)
2024~         : 대한민국 대표팀 (코치)
[ 행정 업무 ]
2024           : FC 서울 (전력 강화실장) 

 

반응형